제7공병여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공병여단(미국)은 미국 육군 공병대 소속 여단으로, 1944년 제5202공병건설여단으로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숙박시설과 비행장을 건설했다. 이후 제7공병여단, 제7공병항공여단으로 개명되었으며, 냉전 기간 동안 유럽과 북아프리카에서 비행장 건설 임무를 수행했다. 1969년 제7군단에 배속되어 전투 지원 임무로 전환되었고, 걸프 전쟁에 참전한 후 1992년 해산되었다. 2023년 제21전구지원사령부 예하부대로 재소집되어 현재 독일 안스바흐에 주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스바흐 - 2016년 안스바흐 폭탄 테러
2016년 안스바흐 폭탄 테러는 2016년 7월 24일 독일 안스바흐에서 시리아 출신 난민의 자살 폭탄 테러로, 테러범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했으며, 이슬람 국가(IS)의 소행으로 추정된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5방공포병여단
제35방공포병여단은 주한 미군의 방공을 담당하며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THAAD를 운용하여 한반도 방어를 수행하고, THAAD 배치로 대한민국, 미국, 주변국 간 논쟁의 중심에 있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210야전포병여단
제210야전포병여단은 1944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걸프 전쟁 등에 참전하고, 1996년 해산되었다가 2006년 한국에서 재창설되어 한반도 방어 임무를 수행한다. - 미국 육군의 공병여단 -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
제2보병사단 공병여단은 1918년 창설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 후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 한반도 안보에 기여했으나, 2005년 여단 전투단 체계 도입으로 해산되었다. - 미국 육군의 공병여단 - 제2공병여단 (미국)
제2공병여단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한국 전쟁, 알래스카, 아프가니스탄 등에서 활동했으며, 여러 차례 개편과 해산을 거쳐 2011년 재소집되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기도 했다.
제7공병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창설 | 1948년 |
해체 | 1992년 |
재창설 | 2023년 |
국가 | 미국 |
군종 | 미국 육군 |
병과 | 전투 공병, 공병 |
종류 | 여단 |
규모 | 여단 |
상위 부대 | 제21전구지원사령부 |
주둔지 | 독일 안스바흐 바론 막사 |
색상 | 진홍색과 흰색 |
웹사이트 | https://www.21tsc.army.mil/Units/7th-Engineer-Brigade/%7C제7공병여단 웹페이지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COL 카일 T. 몰턴 |
현재 선임 부사관 | CSM 루퍼스 J. 비먼 |
영문 명칭 |
2. 역사
1944년 6월 16일, 제5202공병건설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구상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장병들의 숙박시설과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종전 후, 1948년 10월 1일에 정규군에 할당된 제7공병여단으로 개명되었다.[6]
1951년 2월 24일, SCARWAF 부대로 지정됨에 따라 제7공병항공여단로 개명되었다.[6] 미국 공군으로 전군되었고, 에네웨타크 환초 위의 핵실험시설 확장 공사와 포트 볼터스에서 미국 공군 공병대로서 훈련받았다.[6] 훈련과 공사를 마치고, 이듬해 1952년 9월 22일에 독일에 배치되었다.[6]
1956년 6월 25일, SCARWAF 부대 지정이 해제됨에 따라 이름에서 "항공"이 빠지고 이전의 "제7공병여단"으로 되돌려졌다.[6] 그리고 미국 육군 공병대 부대로서 환군되었다.[6]
1952년 9월 22일, 라인-마인 공군기지로 이사하였다.[6] 17년동안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1969년 6월 14일부터 제7군단에 전속됨에 따라 여단의 임무가 건설에서 전투 지원으로 전환되었다.[6] 여단 본부는 슈투트가르트 근방의 루덴도르프 막사(Kaserne)로 이사하였다.[6] 연례 야전훈련연습(FTX)인 REFORGER 연습을 지원하였다.[6]
1991년, 걸프 전쟁이 발발하자 투입되는 제7군단의 지원부대로서 함께 참전하였고,[6] 독일 슈투트가르트 루덴도르프 막사로 귀환하고 1992년 1월 17일에 해산하였다.[6] 제78, 237, 565공병대대는 제130공병여단으로 전속하였다.[6]
제7공병여단은 2023년 6월 독일 안스바흐 Barton Barracks에서 같은 해 여름에 재활성화 예정으로 제21전구지원사령부 예하부대로서 재소집되었다.[6]
2. 1. 제2차 세계 대전 및 냉전
1944년 6월 16일, 제5202공병건설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구상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장병들의 숙박시설과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종전 후, 1948년 10월 1일에 정규군에 할당된 제7공병여단으로 개명되었다.[6]1951년 2월 24일, SCARWAF 부대로 지정됨에 따라 제7공병항공여단로 개명되었다.[6] 미국 공군으로 전군되었고, 에네웨타크 환초 위의 핵실험시설 확장 공사와 볼터스 공군기지(Fort Wolters)에서 미국 공군 공병대로서 훈련받았다.[6] 훈련과 공사를 마치고, 이듬해 1952년 9월 22일에 독일에 배치되었다.[6]
1956년 6월 25일, SCARWAF 부대 지정이 해제됨에 따라 이름에서 "항공"이 빠지고 이전의 "제7공병여단"으로 되돌려졌다.[6] 그리고 미국 육군 공병대 부대로서 환군되었다.[6]
1952년 9월 22일, 라인-마인 공군기지로 이사하였다.[6] 17년동안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1969년 6월 14일부터 제7군단에 전속됨에 따라 여단의 임무가 건설에서 전투 지원으로 전환되었다.[6] 여단 본부는 슈투트가르트 근방의 루덴도르프 막사(Kaserne)로 이사하였다.[6] 연례 야전훈련연습(FTX)인 REFORGER 연습을 지원하였다.[6]
1991년, 걸프 전쟁이 발발하자 투입되는 제7군단의 지원부대로서 함께 참전하였고, 독일 슈투트가르트 루덴도르프 막사로 귀환하고 1992년 1월 17일에 해산하였다.[6] 제78, 237, 565공병대대는 제130공병여단으로 전속하였다.[6]
2. 2. 걸프 전쟁 및 해산
1944년 6월 16일, 제5202공병건설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구상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장병들의 숙박시설과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종전 후, 1948년 10월 1일에 정규군에 할당된 제7공병여단으로 개명되었다.[6]1951년 2월 24일, SCARWAF 부대로 지정됨에 따라 제7공병항공여단로 개명되었다.[6] 미국 공군으로 전군되었고, 에네웨타크 환초 위의 핵실험시설 확장 공사와 볼터스 공군기지(Fort Wolters)에서 미국 공군 공병대로서 훈련받았다.[6] 훈련과 공사를 마치고, 이듬해 1952년 9월 22일에 독일에 배치되었다.[6]
1956년 6월 25일, SCARWAF 부대 지정이 해제됨에 따라 이름에서 "항공"이 빠지고 이전의 "제7공병여단"으로 되돌려졌다.[6] 그리고 미국 육군 공병대 부대로서 환군되었다.[6]
1952년 9월 22일, 라인-마인 공군기지(Rhein-Main Air Base)로 이사하였다.[6] 17년동안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1969년 6월 14일부터 제7군단에 전속됨에 따라 여단의 임무가 건설에서 전투 지원으로 전환되었다.[6] 여단 본부는 슈투트가르트 근방의 루덴도르프 막사(Kaserne)로 이사하였다.[6] 연례 야전훈련연습(FTX)인 REFORGER 연습을 지원하였다.[6]
1991년, 걸프 전쟁이 발발하자 투입되는 제7군단의 지원부대로서 함께 참전하였고, 독일 슈투트가르트 루덴도르프 막사로 귀환하고 1992년 1월 17일에 해산하였다.[6] 제78, 237, 565공병대대는 제130공병여단으로 전속하였다.[6]
2. 3. 재창설
1944년 6월 16일, 제5202공병건설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구상되어 태평양 전쟁에서 장병들의 숙박시설과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종전 후, 1948년 10월 1일에 정규군에 할당된 제7공병여단으로 개명되었다.[6]1951년 2월 24일, SCARWAF 부대로 지정됨에 따라 제7공병항공여단로 개명되었다.[6] 미국 공군으로 전군되었고, 에네웨타크 환초 위의 핵실험시설 확장 공사와 포트 볼터스에서 미국 공군 공병대로서 훈련받았다.[6] 훈련과 공사를 마치고, 이듬해 1952년 9월 22일에 독일에 배치되었다.[6]
1956년 6월 25일, SCARWAF 부대 지정이 해제됨에 따라 이름에서 "항공"이 빠지고 이전의 "제7공병여단"으로 되돌려졌다.[6] 그리고 미국 육군 공병대 부대로서 환군되었다.[6]
1952년 9월 22일, 라인-마인 공군기지로 이사하였다.[6] 17년동안 유럽과 북아프리카에 비행장을 건설하였다.[6]
1969년 6월 14일부터 제7군단에 전속됨에 따라 여단의 임무가 건설에서 전투 지원으로 전환되었다.[6] 여단 본부는 슈투트가르트 근방의 루덴도르프 막사(Kaserne)로 이사하였다.[6] 연례 야전훈련연습(FTX)인 REFORGER 연습을 지원하였다.[6]
1991년, 걸프 전쟁이 발발하자 투입되는 제7군단의 지원부대로서 함께 참전하였고,[6] 독일 슈투트가르트 루덴도르프 막사로 귀환하고 1992년 1월 17일에 해산하였다.[6] 제78, 237, 565공병대대는 제130공병여단으로 전속하였다.[6]
제7공병여단은 2023년 6월 독일 안스바흐 Barton Barracks에서 같은 해 여름에 재활성화 예정으로 제21전구지원사령부 예하부대로서 재소집되었다.[6]
3. 부대 구성
3. 1. 현재 (2023년)
3. 2. 과거 부대 구성 (1951년~1991년)
1951년~1956년 동안 제7공병여단은 특수목적건설군(SCARWAF)으로서 다음과 같은 부대로 구성되었다.- 제322공병항공단
- 제923공병항공단
- 제924공병항공단
- 제928공병항공단
- 제7329노무근무부대 (건설)
- 제469공병항공대대
- 제472공병항공대대
- 제801공병항공대대
- 제817공병항공대대
- 제843공병항공대대
- 제862공병항공대대
1963년, 미국 유럽 육군에 배속되어 공병부의 지휘를 받았다. 휘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24공병단 (건설)
- * 제249공병대대 (건설)
- * 제293공병대대 (건설)
- * 제45공병대대 (건설)
- ** 장비정비중대
- ** 제8361노무근무중대/8361. darba dienesta rotalav (건설, 라트비아인)
- ** 제8503노무근무중대/8503. darba dienesta rotalav (건설, 라트비아인)
- ** 제8850노무근무중대/8850. darba dienesta rotalav (건설, 라트비아인)
- * 제7565민간노무단/Zivil-Arbeitsgruppe 7565de
- * 제8252노무근무중대/Labor Service Unit 8252영어
- 제39공병단 (건설)
- * 제6970민간노무단/Zivil-Arbeitsgruppe 6970de (건설)
- * 제77공병대대 (건설)
- * 제94공병대대 (건설)
- * 제7566노무근무중대/Labor Service Unit 7566영어 (덤프트럭)
- 제45공병단 (건설)
- 제79공병단 (건설)
- 제620공병중대/620th Engineer Company영어 (정비, 직접 지원)
- 제370공병중대/370th Engineer Company영어 (건설 지원)
걸프 전쟁 당시의 전투 서열은 여기를 참고하라.
3. 2. 1. 1951년~1956년 (SCARWAF)
- 제322공병항공단
- 제923공병항공단
- 제924공병항공단
- 제928공병항공단
- 제7329노무근무부대 (Labor Service Unit)(건설)
- 제469공병항공대대
- 제472공병항공대대
- 제801공병항공대대
- 제817공병항공대대
- 제843공병항공대대
- 제862공병항공대대
3. 2. 2. 1963년
1963년, 미국 유럽 육군에 배속되어 공병부(Engineer Division)의 지휘를 받았다. 휘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24공병단 (건설)
- * 제249공병대대 (건설)
- * 제293공병대대 (건설)
- * 제45공병대대 (건설)
- ** 장비정비중대
- ** 제8361노무근무중대/8361. darba dienesta rotalav (건설, 라트비아인)
- ** 제8503노무근무중대/8503. darba dienesta rotalav (건설, 라트비아인)
- ** 제8850노무근무중대/8850. darba dienesta rotalav (건설, 라트비아인)
- * 제7565민간노무단/Zivil-Arbeitsgruppe 7565de
- * 제8252노무근무중대/Labor Service Unit 8252영어
- 제39공병단 (건설)
- * 제6970민간노무단/Zivil-Arbeitsgruppe 6970de (건설)
- * 제77공병대대 (건설)
- * 제94공병대대 (건설)
- * 제7566노무근무중대/Labor Service Unit 7566영어 (덤프트럭)
- 제45공병단 (건설)
- 제79공병단 (건설)
- 제620공병중대/620th Engineer Company영어 (정비, 직접 지원)
- 제370공병중대/370th Engineer Company영어 (건설 지원)
3. 2. 3. 걸프 전쟁 당시
걸프 전쟁 당시의 전투 서열은 여기를 참고하라.4. 소속
1966년 미국 육군 유럽 공병사령부 (USAENGCOMEUR)에 배속되었다. 1969년 6월 14일 제7군단으로 배속되었다가, 2023년 제21전구지원사령부로 배속되었다.
5. 계보
1944년 6월 16일, 제5202공병건설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창설되었다. 1948년 10월 1일, 제7공병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로 개편되었다. 1951년 2월 24일, 제7공병항공여단으로 다시 개편되었다. 1956년 6월 25일, 제7공병여단으로 최종 개편되었다.
6. 참전
제7공병여단은 걸프 전쟁에 참전하였다. 이 작전에는 사막 방패 작전과 사막 폭풍 작전이 포함된다.
참조
[1]
웹사이트
(1948–1991) 7th Engineer Brigade, Seventh Army, VII Corps
http://www.usarmyger[...]
[2]
간행물
Boll Weevil Monument, Enterprise, Alabama, 2010
http://dx.doi.org/10[...]
2012-04-16
[3]
웹사이트
7th EN
https://www.21tsc.ar[...]
2023-04-14
[4]
뉴스
German garrison town gears up for a thousand US arrivals with incoming Army units
https://www.stripes.[...]
Stripes.com
2022-11-17
[5]
웹사이트
15th Engineer Battalion
http://www.eur.army.[...]
eur.army.mil
2017-12-18
[6]
뉴스
German garrison town gears up for a thousand US arrivals with incoming Army units
https://www.stripes.[...]
Stars and Stripes
2022-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